본문 바로가기

부동산관련 공부

LTV DTI DSR 뜻 차이점 총정리

728x90
반응형

 

첫 집을 마련하기 위해 대출을 고민중이라면
꼭 나오는 LTV DTI DSR이라는 용어들이 있습니다.
처음 들으면 생소하기만 한데요.

은행에서 개인들에게 대출을 해주기 전
주택의 가격과 상환능력을 보게 됩니다.
상환능력은 개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LTV DTI DSR을 통해서 개인에게 맞는
대출 한도와 금리를 측정해서 대출을 시행해 줍니다.

내 상황에 맞는 집을 알아보고 그에 맞는
대출전략까지 함께 계획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LTV

내가 매매하려는 주택의 담보인정 비율을
이야기합니다.


만약 집 값이 10억이라고 가정하에
LTV가 50%라면 이 집에 대한 주택담보대출은
5억까지 대출이 가능하게 되는 겁니다.

내가 원하는 주택의 담보가치 금액은 현재 거래되고
있는 가격이 아닌 국세청 기준시가, KB시세,
감정가액
등으로 주택 담보가치 금액이 정해집니다.

현재 거래되고 있는 주택가격이 아닌 공신력 있는
자료를 통해서 주택 담보가치 금액이 정해진다!

DTI

총부채 상환비율을 이야기합니다.

주담대 연간 원리금 상환액 + 주담대 이자
+ 기타 대출 이자 =
총 상환액
총 상환액이
연간 총 소득액의 몇% 비율인지


만약 연간 총 소득이 5,000만원이고
DTI가 50%라고 가정한다면?

주담대 연간 원리금 상환액 및 이자, 기타 대출
이자를 포함하여 상환하는 금액이 2,500만원이
넘어가지 않게 주담대 대출 한도가 정해집니다.

단순하게 DTI만 보면 한도가 고정되어 보이지만
대출만기 설정기간과 금리에 따라서 대출 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DSR

총부채 원리금 상환비율을 이야기합니다.

주담대 연간 원금 이자 상환액 + 모든 대출의
연간 원금 이자 상환액 = 총 상환액


단순하게 보면 DTI와 비슷한 용어 같지만
DTI와 달리 DSR은 모든 대출을 확인하고
상환하고 있는 모든 대출 원리금과 이자까지
계산하여 비율에 들어가게 됩니다.

연간 총 소득이 5,000만원이고
DSR이 50%라고 가정한다면?

주담대 원리금 상환액 및 이자, 기타 모든 대출
원리금과 이자까지의 총 합이 2,500만원이
넘어가지 않아야 합니다.

DTI와 크게 다른 점은 주담대뿐 아니라
기타 모든 대출의 원리금과 이자상환액까지
비율로 들어가기 때문에 대출이 많은 사람들은
그만큼 대출 한도가 줄어든다는 점이 있습니다.

앞으로는 DSR에서 더 강화되는 스트레스DSR을
도입한다고 합니다. 내 집 마련을 생각하시는
분들이라면 꼭 체크해주세요!
이후에 자금계획을 세우신다면
내 집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실 겁니다.
🤍

 

스트레스 DSR을 도입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DSR이란?총부채 원리금 상환비율을 이야기합니다. 다시 이야기하면 대출을 시행하는 시점의 금리를 적용해서 소득대비 부채 원리금 상환비율이 40%가 넘아가면 안됩니다. 예를 들어 연봉 1억원의

qkqndejrtm.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