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경제공부

탄소배출에 따른 수소의 종류와 생산하는 방법

728x90
반응형


당장 수소경제 체제로 변하지는 않겠지만 기후변화의
문제점이 커지는 만큼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선
탄소배출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대안으로 나오는 것이 친환경 에네지 수소입니다.
탄소배출에 따라 수소의 종류가 나눠지고 생산방법
또한 다르다고 하는데요. 앞으로 전 세계의 흐름만
안다고 해도 투자를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린수소

전기로 물을 전기분해하는 수전해 방식으로
탄소배출이 발생하지 않는 수소 생산


생산과정에서 이산화탄소 같은 배출가스를 발생하지
않고 생산하는 수소입니다.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으로 전기를 만들어내고 그 전기를
수전해 기술에 사용해 수소를 생산합니다.

즉 기존 발전소에서 전기를 얻는 것이 아닌 태양열과
풍력발전기를 통해 얻는 전기에너지를 수전해 방식에
전달하여 수소를 만들어 가장 친환경적인
에너지원으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태양열.풍력을 이용해 얻은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수적입니다.
에너지를 저장해 놓고 필요할 때 활용할 수 있다면
수소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고 보관이 가능하게 됩니다.

그레이수소

석유, 천연가스 등 화석연로를 개질해서 생산하는 수소이며 생산 과정에서 탄소 배출이 발생하게 된다.

그레이수소는 생산하는 과정에서 탄소가 발생하는
부생수소와 개질수소로 분류된다.

부생수소는 석유화학 및 제철소에서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소로 생산량을 늘리는데 한계는 있지만 생산비용이 저렴하다.

개질수소는 천연가스를 고온.고압 수증기와 반응시켜
물에 함유된 수소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보편적인
부생수소보다는 수소생산이 어렵다는 점이 있다.

블루수소

그레이수소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포집.저장.활용하여 탄소배출을 줄여 생산하는 수소

블루수소는 그레이수소와 같이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지만 이산화탄소를 포집.저장.활용하여 탄소배출을 최소한 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그레이수소보다 친환경적인 수소로 꼽히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수소 3가지를 써 보았는데요.
수소는 생산 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원료와 탄소
배출량에 따라서 다양한 컬러로 분류가 된다.
수소 컬러 그레이, 블루, 그린, 브라운, 옐로
이 중 가장 대표적인 수소는 그레이수소, 블루수소
그린수소 입니다.


완전한 친환경적인 수소를 얻기 위한 2가지

1. 태양광.풍력에서 얻은 재생에너지로 수전해 방식을
통해 수소를 얻어야 한다. 수전해 방식을 사용하는데 사용되는 전기에너지가 화석연료를 사용해 얻은 전기에너지라면  완전한 친환경 수소가 되지 못한다.

발전소에서 화석연료를 사용해 전기에너지를 얻는
과정에서 탄소가 발생하게 되고 이 방법은 친환경적인
방법이 되지 못한다. 현재 태양열과 풍력으로
전기에너지를 얻고는 있지만 전국에서 사용하는
전력량을 감당해내기엔 한참 역부족인 상황

2. 태양열. 풍력으로 얻은 재생에너지를 보관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초과생산된 에너지는 사용하지
못하면 방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재생에너지를
보관하고 필요할 때 활용할 수 있다면 더 효율적인
방법으로 수소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