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은 연금만으로도 억만장자가
생긴다고 합니다. 그 연금이 바로
미국의 401K 연금제도입니다.
억만장자의 숫자는 얼마나 될까요?
10억 이상의 연금자산을 가진
사람들이 30만명이 넘는다고 하네요😆
이 돈 이면 노후준비는 걱정이 없겠네요...
오늘은 미국의 401K 연금제도가
얼마나 좋길래 억만장자가 나오는 건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미국의 401K 연금제도
1981년도에 처음 도입된 제도로
개인연금 지급불능을 개선하기 위해
만들어졌고 근로자가 스스로 운용해
수익을 내는 한국의 확정기여형(DC)
제도와 비슷한 퇴직연금제도입니다.
미국의 401K의 뜻을 보면
한국의 확정기여형 (DC형)
제도와 비슷하다고 보이는데요.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한국연금과 미국연금의 차이점이
많습니다.
한국연금과 미국연금의 차이점
1. 세제혜택
- 401K를 납입한 금액은 연말정산시
과세표준에서 제외 후 연말정산
- 연금계좌 운용수익과 배당에 대해서
비과세, 과세이연 혜택이 있습니다.
2. 높은 불임금 한도
연 $22.500달러까지 불입이 가능하다.
3. 고용주 매칭 시스템
근로자의 연봉 3% ~ 6%까지
회사에서 근로자의 연금계좌로
납입해주는 시스템
내가 납입하는 금액만큼 동일하게
회사에서 매칭해 주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최대로 넣는다면 더욱
좋습니다.
매칭 시스템은 회사의 복지로
들어가는 부분이라 모든 회사가
가지고 있는 건 아니라고 합니다.
4. 가입여부 납입금액 선택가능
한국은 퇴직금이 퇴직연금으로
들어가지만 미국은 퇴직금의 개념이
없고 퇴직연금 가입여부를 선택해서
납입하는 시스템입니다.
무조건 가입해서 장기적으로 납입하면
좋겠지만 개인의 사정에 따라서
가입여부를 정하는것도 장점인 것 같습니다.
[돈글돈글]"아빠보다 부자인 아들"…美 MZ세대의 빵빵한 연금 통장
최근 미국은 빈곤층으로 전락한 베이비붐 세대(1946~1964년생)가 큰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연금이 집값이 상승하는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면서 플로리다주와 뉴욕시 등 대도시를 중심으
n.news.naver.com
미국의 401K 퇴직연금제도가
수익률이 좋은 이유는?
아무래도 디폴트옵션 제도 도입과
TDF의 효과가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디폴트옵션이란?
퇴직연금 가입자가 일정기간 퇴직연금
계좌에 있는 현금을 운용하지 않았을 때
사전에 내가 정해둔 상품으로 자동매수
해주는 제도입니다.
사전에 정해둔 상품으로 자동매수
해줌으로써 퇴직연금이 현금상태로
있지 않고 주식시장으로 흘러갑니다.
미국은 이 제도를 통해서 퇴직연금의
전체 자산 80%가 넘는 금액이
디폴트옵션 제도를 통해서
TDF에 투자되고 있습니다.

퇴직연금의 연평균 수익률만 봐도
한국과 차이점이 보이네요.
TDF란?
근로자의 생애주기를 고려한 운용전략상품
은퇴시점에 맞춰 공격적인 투자자산과
안정적인 투자자산의 비율을 자동으로
조절해 줍니다.
다시 이야기하면 나이가 어리다면
성장하는 글로벌기업에 투자함으로써
장기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위해 투자하고
은퇴시점이 다가오면 안정적인 자산으로
비중이 옮겨져 자동으로 자산배분을
해주는 금융상품입니다.
한국 퇴직연금에 대한 생각
우리나라의 경우는 아직도 퇴직금을
DB형으로 운용하는 비율이 상당히 높고
그 이유 중의 하나는 원금손실이 두려워서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한국 주식시장이 안정적인 흐름으로
계속 이어나갔다면 DC형으로
운용하는 사람들이 많았겠지만
선진국들의 비해 주가가 흔들리는
폭이 큰 건 사실이니까요..

앞으로 갈수록 노인빈곤율이 높아지는 만큼
노후준비에 대한 고민이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한국도 22년 7월부터 디폴트옵션제도 시행
한국은 미국과 똑같이 디폴트옵션제도를
시행했지만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1. DB형으로 운용되는 자산이 많다.
주식시장이 아닌 채권, 예금 같은 상품으로
운용하기 때문에 한국 주식시장에 대한
상승효과는 크게 없다.
앞으로 퇴직연금 자금이 DC형으로 많이
이동한다면 한국 주식시장도 높은
수익률을 기대해 볼수 있을것 같습니다.
2. 디폴트옵션제도의 아쉬움
한국은 디폴트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는
상품이 회사에서 지정해준 상품 내에서
운용이 가능하다!
이 말은 회사마다 지정해준 상품은 다르지만
안정적인 상품이 많다는 걸 의미합니다.
현재 내가 젊다면 성장이 기대되는
글로벌기업에 투자하는 방법도 있지만
선택하기 어렵다는 점이 아쉽습니다.
나의 이야기

작년 말 퇴직금 적립금이 200조 가까이
적립되어 있고 앞으로는 더
늘어날 전망이라고 합니다.
워렌버핏의 투자원칙이 생각납니다.
1. 원금을 잃지말아라
2. 1번째 원칙을 기억하라.
이 말처럼 내 소중한 자산이
내 노후를 위해 열심히 일 해주길
바라며 오늘도 공부해봅니다!
🩵
'비즈니스.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의 수소경제 수소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0) | 2024.03.09 |
---|---|
알아야 하는 경제용어 인플레이션 (1) | 2024.02.26 |
원리금균등 원금균등 뜻 차이점 상환방식은? (2) | 2024.02.04 |
홍콩 H지수 사태 ELS뜻 원인 모든 것 (0) | 2024.02.02 |
퇴직연금 DC형 DB형 차이점 장.단점 (0) | 2024.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