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면서 뉴스만 봐도 많이 나오는 단어 인플레이션
대충은 알았지만 자세히 알아본 적은 없는것 같아
오늘은 글을 쓰면서 공부해보려고 합니다.
기본적으로 알아야 하는 경제용어
인플레이션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인플레이션 뜻
통화량이 많아지면서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고 물가가 올라 실질적인 소득이
감소하는 현상을 이야기합니다.
코로나 양적완화 효과로 보는 인플레이션
코로나 팬데믹 이후 정부에서는 가계와 기업을
살리기 위해 막대한 통화량을 푸는 양적완화 정책을
펼치면서 통화량이 많아지고 사람들이 그 돈으로
주식. 집도 거래하고 일반적인 상품이나 서비스를
많이 구매하면서 공급대비 수요상승의 효과로
소비자물가가 많이 오르게 되는 상황이 발생했었죠.
정리하기
화폐가 많이 풀리면서 사람들의 소비심리가 살아나
그 돈으로 집. 주식. 상품. 서비스가 공급대비
수요과다 현상이 발생하면서 모든 물가가 상승
그렇지만 인플레이션은 화폐가 많아지면
발생하는 현상이 아닌 발생 원인은 이 외에도
매우 많습니다.
인플레이션의 발생 원인
수요가 상승할 때
예를 들어 입지가 좋은 자리에 브랜드 아파트가
있다고 생각하면 사람들은 내 집 마련을 위해
가격도 보겠지만 입지 좋은 아파트를 생각하고
구매를 하려고 할 것입니다. 그 아파트의 가격은
1억 이였지만 원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사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 자연스럽게 2억 3억 원이
되면서 가격이 올라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원자재 가격이 상승할 때
매년 인건비가 오르면서 물가가 조금씩 오르기도
하지만 원자재 수출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
원자재 가격에 대한 가격상승 압력도 많이 받습니다.
예를 들어 천연가스 같은 경우 겨울철 난방으로 인한
천연가스 수요량은 많은데 공급이 줄어드니
자연스럽게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고
소비자가 부담하는 비용까지 상승하게 됩니다.
인플레이션 영향
비용 증가, 소비력 감소
상품을 만드는 기업의 입장에서
생산비용 (인건비. 원자재 가격)이
오르고 상품 가격이 오르면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감소하고 기업은 어려워지게 됩니다.
기업은 살아남기 위해 비용절감을 해야만 하고
최후의 수단으로 구조조정을 하기도 합니다.
고정비용 상승
물가가 많이 오르게 되면 물가를 잡기 위해
중앙은행에서는 금리를 올려 물가를 잡습니다.
이렇게 되면 변동금리로 대출을 받았던 사람들은
이자가 상환비용이 높아지면서
고정비용이 상승하고 생활비를 줄이면서
인플레이션 시기를 보내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인플레이션 시기에는 물가상승률보다 높은
투자자산에 투자해야 소중한 내 자산가치의
하락을 막을 수 있습니다.
힘든 시기지만 잘 판단하셔서 소중한
자산 잘 지키시면 좋겠습니다
☺️
'비즈니스.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소배출에 따른 수소의 종류와 생산하는 방법 (0) | 2024.03.18 |
---|---|
미래의 수소경제 수소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0) | 2024.03.09 |
401K란? 미국에서 억만장자가 나오는 이유! 한국연금과 미국연금 차이점 (0) | 2024.02.05 |
원리금균등 원금균등 뜻 차이점 상환방식은? (2) | 2024.02.04 |
홍콩 H지수 사태 ELS뜻 원인 모든 것 (0) | 2024.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