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정부정책

자동차 적색(빨간색) 경고등과 조치방법

728x90
반응형

 

시동을 켰을 때 계기판에 경고등이 들어오는
경우가 생기면 당황하게 되는데요.

경고등이 떴는데 바로 정비소를 가야 하는지
주행을 해도 되는지 난감한 상황이 발생합니다.

오늘은 자동차 경고등에서 가장 중요한
적색 경고등 신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동차 경고등을 알아보기에 앞서 경고등은
계기판에 3가지 색상으로 구분이 됩니다.

자동차 계기판에
적색 경고등이 보인다면 위험 신호에 해당되며
가까운 정비소로 이동해 수리를 하는 것이 맞습니다.

황색 경고등이 보인다면 주의 신호에 해당되며
장거리 운전이 아니라면 주행이 가능합니다.
가까운 시일 내에 차량 정비를 받으시면 됩니다.

녹색 경고등이 보인다면 자동차의 고장이라기보단
자동차의 상태나 기능의 상태를 확인해 주는
신호입니다.

자동차 적색 경고등

엔진 경고등
엔진, 배기가스 전자제어 장치와 관련 있는
센서 이상이거나 연료탱크, 연료필터, 연료공급장치에
누유가 발생할 경우 점등

조치방법
엔진에 이상이 있을 때 발생하는 경고등으로
바로 정비소로 향하는 게 좋습니다.

엔진과열 경고등
엔진이 과열되거나 냉각수가 부족할 경우 경고등 점등

조치방법
엔진과열로 인해 주행을 멈추고 엔진에 과열이
발생한 건지 냉각수가 부족한지 확인해야 합니다.

엔진오일 부족 경고등
엔진오일 부족으로 인한 경고등 점등

조치방법
주행을 중단하고 엔진오일이 부족한지 확인 후
엔진오일이 부족하다면 견인을 통해 정비소로
이동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냉각수(부동액) 경고등
말 그대로 냉각수나 부동액이 부족할 경우 경고등 점등

조치방법
주행을 멈추고 냉각수가 부족한 건지 누수가 되는 건
아닌지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긴급제동 시스템(AEBS) 경고등
차량과 차량 충돌이 예상될 때 경고음이 울리고
경고등이 점등

충전 경고등
자동차 배터리의 방전이나 파손으로 문제점이
발생 시 경고등 점등

조치방법
보닛을 열어 배터리를 확인하고 파손이나 이상이
없다면 방전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겨울철 시동을 걸 때 시동이 걸리지 않고 차가 계속
떨린다면 방전일 가능성이 높고 자동차보험사
출동서비스를 통해서 배터리 서비스를 받으시면
됩니다.

브레이크 경고등
브레이크 제동시스템 이상 발생 시 경고등 점등

조치방법
P 브레이크가 걸려있는지 확인 후 걸려있다면
P 상태를 풀었다 걸었다 반복해 본다.
그래도 경고등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정비소를
찾아가는 게 가장 좋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