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공부

개인연금 IRP계좌를 통한 나만의 노후준비!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노후준비에 대한 고민이 많은
생각많은돌님 입니다.

저는 일반 직장인으로서 노후준비를 위해
개인연금을 납입하고 있고 앞으로 여유가 된다면
IRP까지 같이 넣어보려는 계획을 하고 있습니다.
 
곧 30대 중반을 바라보는 나이지만
지금부터 노후준비에 대한 고민도 많고
직장인이 어떻게 하면 노후준비를 잘할 수 있을까
고민을 많이 하고 있답니다😅

제가 개인연금과 앞으로 IRP를 같이 하려는 이유에 대해
한번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개인연금 IRP 납입한도, 세액공제

개인연금은 600만원까지
IRP계좌 300만원을 포함해서
총 900만원까지 연말정산 시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한도를 채우지 못해도 내가 납입한 만큼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는 것! 정말 좋지 않나요?

여기서 TIP을 알려드릴게요.

1. 매월 납입이 부담된다면 연말에 한 번에 납입 가능
직장인으로써 매달 나가는 지출의 등락이 심하기에
매월 납입이 부담될 수 있는 분들은 미루다가
가능한 시점에 한번에 몰아서 납입하더라도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환급받은 비용은 재투자를 추천
예를 들어 600만원을 납입하고 16.5%환급을 받는다면?
= 99만원 환급
환급받은 비용을 다시 개인연금으로 재투자 했을 때는?
=699만원이 되는 겁니다.

환급받은 99만원을 다시 납입했기 때문에
연말에 세액공제도 받고 연금한도도 채울 수 있게 됩니다.
 
개인연금과 IRP의 과세이연!

일반 증권계좌에서는 배당금에 대해
받는 시점마다 15.4%의 세금을 내야 하지만
개인연금 IRP계좌는 연금을 수령할 시점의 나이에 맞춰
최소 3.3%에서 최대 5.5%의 세율의 세금만 내면 되기에
과세이연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55세 이후 5.5%
65세 이후 4.4%
75세 이후 3.3%

요약하면 늦게 받을수록 세금이 적다!

여기서 제가 아직 IRP를
하지 않는 이유가 여기 있습니다.

개인연금계좌는 주식의 비중이 100% 투자가 가능하지만
IRP계좌는 주식비중이 70%까지만 투자가 가능합니다.

저는 아직 나이가 많지 않기 때문에
주식비중을 100%로 가져가고 싶어
개인연금계좌로만 운영하고 있고
40대가 되면 소득이 높아진 만큼
IRP계좌를 통한 안정적인 투자도 해볼 생각입니다.

다만 중도인출을 해야 하는
돈이라면 하지 않는 걸 추천드려요!

중도인출시 내가 받은 세액공제 금액을
그대로 반납해야 해요.

개인연금은 세액공제를 받은 만큼
다시 반납하는 조건으로 인출이 가능하지만
IRP는 중도인출이 어렵다는 점
꼭! 알아두세요😅

개인연금과 IRP 운영시 필요한 것은?


아무래도 펀드, ETF, 채권, 원자재, 원화 같은
상품으로 운영을 해야 하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공부도 해야 합니다.

내가 내는 수익만큼 원금이 커지기 때문에
모든 책임은 저에게 있더라구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인연금과 IRP 운영을 추천하는 이유는
개별주식이 아닌 ETF, 펀드로 운용하기 때문에
글로벌기업이 포함된 안정적인 금융 상품을 선택했을 때
수익 하락에 대한 걱정을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저와 같이 공격적인 투자로 인한 원금 손실에 대한
두려움이 있는 분들에게도 좋은 투자방향 같구요!

때문에 저는 위에 추천드린 방식처럼
소득에 따라 매년 세액공제로
16.5%, 13.2%를 받기 때문에
세액공제 받는 금액을 재투자
하면서 원금을 늘려 나가고 있습니다.

이런 부분이 저에게는 매력적으로
다가왔고 꼭 해야겠다고
생각했던 것 같아요.


나의 노후준비를 위해
오늘도 공부해봅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