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공부

ESG경영이란? 간단하게 이해하기

728x90
반응형

 


ESG경영?
갑자기 무슨 얘기인가 싶은데요.
전 세계적으로 ESG경영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고 우리나라 또한 앞으로는
국민연금, 은행, 증권사들이 ESG경영을 하는
기업으로 투자자금이 더 흘러 갈 것 같습니다.

현재 투자를 하고 계시다면
꼭! 알고 넘어가셔야 투자를 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되실겁니다.

ESG경영 뜻

기존에는 기업들의 성과만으로
기업을 판단하고 투자를 했다면
전 세계적으로 ESG경영은
기업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환경적인 책임, 사회적인 책임, 지배구조
평가와 성과로 기업을 투자하고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환경 Environment 사회 Social
지배구조 Governance

전 세계적인 ESG의 흐름

현재도 국내에선 기업들의 ESG평가를 통해
점수와 순위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에서는 25년 이후부터
자산이 2조 이상인 기업들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ESG평가)를
의무공시 해야 하고 이를 지키지 않는
기업은 투자대상이 되기 어렵다고
이야기하고 있는데요.
(2030년부터는 코스피 상장사
의무공시 시행예정)

국민연금이 이야기한 만큼 은행이나
증권사, 투자자들 또한 ESG에 대한
기업평가가 얼마나 중요해지는지
알것 같습니다.

해외에서는 어떤 얘기가 나오고 있을까요?

미국 - 바이든정부 출범 이후 ESG 관심 증대 예상
일본 - ESG 공시 방법 마련
영국 - 2025년까지 모든기업 ESG 공시 의무화
유럽 - ESG 의무 공시대상 확대
(연기금, 은행, 보험, 자산운용사)

세계적인 자산운용사 블랙록

전 세계 1위 자산운용사로 1경이 넘는
자산을 운용하는 투자회사입니다.
앞으로의 투자를 하는데 있어서
기후위기와 지속가능경영이
투자의사결정의 가장 중요한
요점이다
라고 이야기 했습니다.

점점 기후위기에 대한 문제가 나오고 있고
기후위기가 심해진다면 기업들도 이로인해
어려운 상황이 다가오고 자산운용사들의
입장에서도 투자금 회수가 불가하거나
투자금을 잃을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봤을 때 기업들도 지속가능경영을 하기 위해선
ESG경영을 해야 한다 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기업들도 기후위기에 대한 방안으로
E 환경을 신경쓰고 S 사회적인 기업이 되어야 하며
G 지배구조 통해 투자자들이
기업의 주인의식을 갖게 만들어야합니다.

국민연금의 투자방향?

국민연금은 책임투자를 원칙으로
장기적인 수익을 내기 위해
ESG평가투자를 본격적으로 할것
이라고 이야기해왔습니다.

앞으로 ESG평가를 세부적으로 나누어
기업을 평가하고 장기적으로 투자함에
있어서 중요한 기준이 될 것 같습니다.

ESG평가등급

ESG평가등급 및 평가항목
(글로벌 동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E 환경

온실가스 배출량
재생에너지 사용비율
폐기물배출량
대기오염 배출량
에네지사용량
환경경영 목표
환경경영 추진체계
외 총 17개항목

S 사회
신규채용
정규직비율
복리후생비
자발적이직률
여성직원 비율
여성직원 급여
장애인고용
산업재해율

협력사 ESG경영
협력사 ESG지원
정보보호시스템
외 총 22개 항목

G 지배구조
사외이사비율
이사회 성별 비율
사외이사 전문성
이사회 안건 처리
주주총회 소집 공고
배당정책
감사기구 전문성
지배구조 법/규제 위반
외 총 17개 항목

ESG평가를 100% 적용해 투자를 하는건
아니지만 평가결과에 따라 투자의사를
반영하거나 투자제한전략을 통해
ESG의 관점에서 기업을 긍정적으로
판단할지 부정적으로 판단할지
후보군을 만들어 관리한다고 합니다.


국민연금의 기금이 960조가 넘어가고 있고
전 세계 5대 연기금이라고 불릴 만큼
거대한 운용자산을 움직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국민연금이 어떻게 어디로
움직일지 방향만 안다고 해도
투자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ESG의 중요성만을
얘기하고 있고 ESG평가로 기업을
판단하고 투자하는 방향보다는
이 지표로 기업을 투자하는데 있어서
자금을 지키기 위한 보수적인 지표로
사용된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기업들이 ESG경영을 하기 위해
움직이고 있는데요.
앞으로 어떤 변화가 생길지 궁금해집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