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돈을 마련하기 위해서 대부분이
적금이나 예금으로 시작을 하는데요.
처음 가입하면서 제일 먼저 보는 것이
이자와 납부한도입니다.
납부할 수 있는 금액이 높아야
조금이라도 더 많은 이자를
받을 수 있을테니까요.
예금과 적금의 이자계산방법을
잘 알고 계신가요?
오늘은 예금과 적금의 차이와
이자계산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정기예금
한 번에 일정 금액을 정해진 일정 기간 동안
은행에 맡기고 정해진 기간 동안 찾지
않는다는 약속을 하는 예금상품입니다.
정기예금의 이자지급방식 2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단리와 복리
단리
- 이자는 원금에만 적용이 된다.
원금이 늘어나지 않고 고정금액이라면
원금에 대해 정해진 이율을 계산하여
고정된 이자를 지급받는다.
복리
- 단리와 달리 원금과 이자에 대해 모두
적용되는 방식입니다.
원금에서 나오는 이자가 늘어나면
원금과 이자를 포함한 금액에서 이자를
계산하면서 기존보다 더 큰 이자를
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10,000원을 연 이자율 5%로
2년간 단리.복리로 계산하면?
단리
1년 10,000원 X 0.05 = 500원
2년 10,000원 X 0.05 = 500원
원금에 대해 이자를 계산, 이자가 고정
복리
1년 10,000원 X 0.05 = 500원
2년 10,500원 X 0.05 = 525원
2년 차부터 원금에 대한 이자까지
포함해서 계산, 장기적으로
이자포함 원금이 늘어나면서
더 큰 이자를 받게 된다.

정기적금
납입을 약속한 금액을 정해진 날에
납입하여 정해진 기간 동안 유지하여
만기 시 원금과 이자를 같이
지급받는 금융상품입니다.
정기적금의 이자계산방식은
예금과 다른 부분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1년 연 이율 3%의 정기적금을
가입했다고 한다면
첫 번째 달의 납입하는 금액은
12달을 거치하는 금액이기 때문에
3%의 이율을 적용받지만
두 번째 달의 납입금액은 1년 만기까지
11개월의 거치금액이므로
이율도 11개월로 계산하여 적용됩니다.
예금은 큰 금액이 들어가면서 그
금액에 대한 1년 동안의 이자를 받지만
적금은 적은 금액을 나눠서 납입함으로써
그에 따른 이율을 적용받게 된다.
이자 계산방법이 어렵다면
네이버 이자계산기를 통해서
쉽게 계산이 가능합니다.
적금 이자 계산기 : 네이버 통합검색
'적금 이자 계산기'의 네이버 통합검색 결과입니다.
m.search.naver.com


이자 계산기를 통해서 내가 낼
과세와 실제 지급받는 이자까지
알 수 있습니다.
여유있는 목돈이 있다면 예금,
큰 돈을 모으고 싶다면
적금부터 시작!
나의 상황에 맞는 금융상품을
가입하시면 더 좋습니다.
❤️
'생활정보, 정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연금 수급자격 수급금액 모든 것 (0) | 2024.02.06 |
---|---|
알면 돈이 되는 탄소중립실천포인트! (2) | 2024.02.03 |
아기가 밤에 갑자기 아프다면? 달빛어린이병원 꼭 알고 계세요! (0) | 2024.01.28 |
근로장려금 자세하게 알아보자! (2) | 2024.01.27 |
네이버 전세보증보험 가입조건, 할인혜택 알아보기! (0) | 2024.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