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정부정책

적금 예금 차이 이자 계산하는 꿀팁

728x90
반응형


목돈을 마련하기 위해서 대부분이
적금이나 예금으로 시작을 하는데요.

처음 가입하면서 제일 먼저 보는 것이
이자와 납부한도입니다.

납부할 수 있는 금액이 높아야
조금이라도 더 많은 이자를
받을 수 있을테니까요.

예금과 적금의 이자계산방법을
  잘 알고 계신가요?

오늘은 예금과 적금의 차이와
이자계산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정기예금

한 번에 일정 금액을 정해진 일정 기간 동안
은행에 맡기고 정해진 기간 동안 찾지
않는다는 약속을 하는 예금상품입니다.

정기예금의 이자지급방식 2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단리와 복리

단리

- 이자는 원금에만 적용이 된다.
원금이 늘어나지 않고 고정금액이라면
원금에 대해 정해진 이율을 계산하여
고정된 이자를 지급받는다.

복리

- 단리와 달리 원금과 이자에 대해 모두
적용되는 방식입니다.
원금에서 나오는 이자가 늘어나면
원금과 이자를 포함한 금액에서 이자를
계산하면서 기존보다 더 큰 이자를
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10,000원을 연 이자율 5%로
2년간 단리.복리로 계산하면?


단리

1년 10,000원 X 0.05 = 500원
2년 10,000원 X 0.05 = 500원

원금에 대해 이자를 계산, 이자가 고정

복리

1년 10,000원 X 0.05 = 500원
2년 10,500원 X 0.05 = 525원

2년 차부터 원금에 대한 이자까지
포함해서 계산, 장기적으로
이자포함 원금이 늘어나면서
더 큰 이자를 받게 된다.

정기적금

납입을 약속한 금액을 정해진 날에
납입하여 정해진 기간 동안 유지하여
만기 시 원금과 이자를 같이
지급받는 금융상품입니다.

정기적금의 이자계산방식은
예금과 다른 부분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1년 연 이율 3%의 정기적금을
가입했다고 한다면

첫 번째 달의 납입하는 금액은
12달을 거치하는 금액이기 때문에
3%의 이율을 적용받지만
두 번째 달의 납입금액은 1년 만기까지
11개월의 거치금액이므로
이율도 11개월로 계산하여 적용됩니다.

예금은 큰 금액이 들어가면서 그
금액에 대한 1년 동안의 이자를 받지만
적금은 적은 금액을 나눠서 납입함으로써
그에 따른 이율을 적용받게 된다.

이자 계산방법이 어렵다면
네이버 이자계산기를 통해서
쉽게 계산이 가능합니다.

적금 이자 계산기 : 네이버 통합검색

'적금 이자 계산기'의 네이버 통합검색 결과입니다.

m.search.naver.com


이자 계산기를 통해서 내가 낼
과세와 실제 지급받는 이자까지
알 수 있습니다.

여유있는 목돈이 있다면 예금,
큰 돈을 모으고 싶다면
적금부터 시작!

나의 상황에 맞는 금융상품을
가입하시면 더 좋습니다.
❤️


반응형